드디어 <설국열차>가 개봉을 했네요. 역시 여기 저기서 말이 많군요. 말이 많다는 것은, 좋은 것이죠. 저는 영화보고 나와서 싹 다 잊어버리는 영화보다는 그 뒤가 풍성한 영화를 좋아합니다. 물론 저도 개봉하자마자 가서 봤습니다. 처음 보고서는 약간 갸우뚱 했는데 생각할수록 참 좋은 영화였습니다. 그리고 역시 뭔가 잊혀지기 전에 끄적거려 놓고 싶어졌습니다. 물론 이 다음부터는 스포일러 만땅일테니 주의해서 보시길!!!
1. 봉준호는 박찬욱이 아니다.
<올드 보이>의 장도리 씬을 열차 안 도끼 씬으로 바꿨다 어쨌다 했지만 봉준호는 역시 박찬욱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봉감독의 영화치고는 조금 잔인한 편이지만 그렇다고 망치로 이빨빼는 것 같은 장면은 없었네요. 액션이 약하다는 평도 있던데 저는 오히려 액션을 좀 더 뺐으면 싶더군요.
그것보다 봉준호는 박찬욱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던 이유는, 뭔가 사람을 불편하게 (또는 익숙하지 않게) 만들 것 같은 예상이 계속 빗나간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윌포드가 등장하는 첫장면에서 스테이크(이 영화의 중요 소재죠)를 굽고 있는데 왠지 그게 잡아간 어린 아이들 고기일 것 같은 느낌이었으나 아니었죠. 허무하게 윌포드라는 인물이 허구가 아닐까, 그냥 아무것도 아닌 엔진 오덕이 아닐까 예상했었지만 그것도 아니었구요. (설마 <박쥐>의 마지막 대사처럼 "죽으면 끝" 이럴까봐 약간 조마조마했는데... 게다가 그 유명한 에드 해리스는 영화 홍보에 한 번도 나오지 않았으니 더욱 그랬죠.)
2. 매우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영화
아마 서양 사람들이 이 영화를 보면서 제일 먼저 떠올리는 것은 "월 스트리트 점령 (occupy wall street)" 운동이겠죠. 그에 비해서 우리 나라 30대 이상의 중년들은 학창 시절의 '계급 투쟁'일 것이구요. 솔직히 디테일에 강하다는 봉감독이 이 엉성한 배경의 원작 만화에 빠진 이유도 그 측면이 가장 크지 않았을까 추측해 봅니다. 하지만 영화는 그걸 넘어섰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 영화가 더 풍성하고 좋은 것 같습니다.
단편적으로는 시스템 안에서 치고 박고 싸우는 것보다 시스템 밖을 생각하게 만드는 우물 안 개구리들의 영화로 볼 수도 있고, 투쟁하는 인류 역사에 대한 고찰일 수도 있고, 진보와 보수, 그리고 생태주의의 이야기처럼 들리기도 하고, 윌포드를 신으로 커티스를 인간으로 본다면 실존주의 이후의 철학적 주제로 볼 수도 있고, 새누리당과 민주당과 진보진영의 이야기처럼 읽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심지어 박정희(윌포드), 김대중(길리엄), 노무현(커티스), 노회찬(송강호)의 이야기로 해석해볼까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 그 반대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테구요. 아무튼 사람들은 각자가 보고 싶은 것을 보겠죠. 누군가에겐 열차 탈취 액션 영화일 수도!!!
3. 길리엄은 나쁜 놈인가?
여러 해석이 엇갈리지만 꼬리칸의 성자 길리엄에 대한 의견이 좀 분분한 것 같습니다. 윌포드가 말한 길리엄이 정말 그의 참 모습일지 아닐지, 작자의 의도가 궁금하네요. 아이를 살리기 위해 팔 다리를 내 놓은 길리엄인데 제 생각에그건 윌포드가 커티스를 회유하기 위한 수작에 가깝지 않나 싶지만 아니라는 의견이 더 우세한 것도 같네요. 이건 영화를 한 번 더 봐야할 듯!
4. 엔딩
허무하다는 말이 많은 엔딩. 요나와 타미는 새로운 지구의 아담과 이브가 되었을 수도 있고 떠도는 우스개 소리처럼 북극곰에게 잡혀 먹혔을 것이라는 소리도 있지만 아무튼 감독은 싹 갈아 엎고 새롭게 시작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 같네요.
5. 상징들
사실 이런 영화 속 상징들은 때로는 감독보다 관객들에 의해서 더 많이 창조되기도 하는데 <설국열차>처럼 불친절한(?) 영화에는 그런 상징들이 참 많아 보입니다. 윌포드의 W는 wall street의 느낌이 나고, 요나가 새 세상으로 나가는 시점이 18세 성인이 된 시점이라는 것, 공을 원했던 아이가 엔진에 들어가 노동 착취를 당하는 것은 "월드컵 축구공 사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죠. 아무튼 여기에 대해서는 우연히 보게된 아래 리뷰에 자세히 나와 있네요. 물론 저걸 다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런 식의 해석도 재미있네요.
<설국열차>의 이야기가 말이 안된다는 감상(?)도 꽤 있는 것 같던데, 영화든 철학이든 모든 것에는 기본적인 가정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그 위에 개연성과 통일성이 있어야겠지요. <설국열차>에서 허술해 보이는 부분들이 있기는 있지만 저는 오히려 <더 테러 라이브> 같은 경우가 더 개연성이 없어보이더군요. 영구기관에 가까운 열차가 18년 동안 뺑뺑이를 도는 것은 그냥 기본적인 가정에 들어가지만 당장 눈 앞의 마포대교가 박살났는데 그 와중에 시청률 따지고 70% 찍었다고 사라지는 국장은 뭥미??? 게다가 생방 중에 타 방송 아나운서와 인터뷰???
7. 아쉬운 점.
요나(고아성)는 투시력이 있는 것인지 아니면 인기척을 잘 듣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다른 역에 비해 캐릭터가 조금 희미했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마지막에 엔진 속에 아이들이 들어가 있는 것을 발견할 때는 성냥 가지러 갔다가 갑자기 발견한 것 같은 약간 뜬금없는 느낌? 남궁민수(송강호)도 뭔가 대단한 기술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전선 몇 개 이어 붙여서 문을 여는 사람에 불과한 것이 조금은 허망한 캐릭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인공들이 휙휙 죽어나간다지만 다른 사람은 몰라도 메이슨(틸다 스윈튼)이 그렇게 허망하게 간 것도 특히 아쉽네요. 뭔가 끝까지 긴장감을 갖고 가기 위한 역할을 좀 더 주었으면 좋았을텐데, 라는 생각입니다.
전체적으로 본다면 앞부분은 매우 좋았고, 중간 칸의 광경들은 짧고 굵게 편집했으면 어땠을까 싶습니다. 쓰시 먹고 수족관 보고 뭐 이런 것은 괜한 사족같은 느낌. 아이들 교실 장면도 조금 긴 듯했구요.
8. 총평
그래도 <설국열차>는 재미있고 흥미로운 영화였습니다. 배우들도 좋았고 분위기도 좋았고 주제도 마음에 드네요. 아마 한 번 더 보면 훨씬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이 영화에 어설픈 색깔론을 덧씌우지 말자는 듀나님의 의견이 있었습니다만 저는 그것도 하나의 해석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겐 한 편의 우화였지만요. 영화는 재미가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는 분이라면 권하고 싶습니다.
[덧붙임]
1) 누군가 봉준호의 <사회학개론>이라는 말을 했던데 딱 어울린다는 생각이 듭니다. 연대 출신 감독들은 자기 전공 개론으로 영화를 찍나?
2) 봉준호의 유머가 가장 잘 발휘되는 부분은 통역기가 등장하는 장면이 아닐까 싶군요. 그런데 그 목소리도 사용료를 내나요?
3) 이 영화보고서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는 '양갱'과 '코카 콜라', 이공계 출신들에겐 '영구 기관'인가 보군요.
4) 메이슨 총리에게 신발을 던진 것과 관련된 에피소드는 이 장면이 연상되죠.
5) 미래 인류의 식량 문제 해결책은 역시 "곤충"인가 봅니다. 이미 그런 이야긴 많이 있었죠. 궁금하시면 여기 클릭!
아주 재미있게 보고서
상영관을 나서면서는 왠지 찜찜했던 영화.
영상느낌이 박찬욱스럽단 느낌도.
흥행에 성공하긴 어려울거라는 암울한 예상도 해보는 바일세.
답글
내 생각에는 초반에 열심히 달려서 얼떨결에 보는 사람 + 한 번 더 보는 사람까지 잡으면 그럭저럭 성공할 듯하오.ㅎㅎ
윌포드와 박정희 연관성이 떠올라 검색해보니 비슷한 생각하신 분들이 많네요ㅎ 근데 노회찬은 어떤 의미로 송강호와 대비 시키신 건지 궁금하네요~
답글
그냥 진보세력은 원래 시스템 자체를 문제삼는다는 의미에서 노회찬씨를 비유한 것입니다. 물론 이런 비유에 동의하지 않는 분들도 계시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