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Biotechnology, 바이오텍의 모든 것

이전 바이오텍 카테고리/It's Basic!

과학(의학) 연구 방법론

바이오매니아 2009. 10. 20. 00:08
728x90
어제 포스팅한 어이없는 혈액형 결정론 "A형 외아들 남고생, 게임중독 위험군"에 통계자료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나옵니다만 실제로 이런 연구는 방법론적으로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연구방법론을 좀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일단 며칠 전 본 한 기사입니다.

그동안 각 나라에서 진행됐던 23개 연구결과 가운데 신뢰도가 높은 8개를 종합한 결과, 휴대전화 사용과 암 발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종양 발생률이 17% 정도 높다는 것입니다. (중략) 이번 연구결과는 종양학 분야의 세계 최고 권위지인 [jco], 임상종양학회지에 게재됐습니다.

이 휴대폰과 암에 대한 이야기는 오래 전부터 관심을 끌고 있는 문제인데요. 이번에는 두가지 점에서 눈길을 끌었습니다. 첫번째는 의사선생님의 연구라는 점과 논문이 게재되었다는 점, 그 두가지입니다. 그래서 논문을 찾아보았더니 아래의 논문이었습니다. 

Mobile Phone Use and Risk of Tumors: A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published online ahead of print Oct 13 2009) 

위 논문은 메타분석 논문입니다. 그게 뭐냐구요? 그건 조금 뒤에 이야기하기로 하고, 일단 논문의 내용은 윗 기사에 다 나와있는데 논문의 결론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there is possible evidence linking mobile phone use to an increased risk of tumors from a meta-analysis of low-biased case-control studies. Prospective cohort studies providing a higher level of evidence are needed. (편견이 적은 증례-대조군 연구들의 메타 분석 연구를 통해 휴대폰사용과 암발생증가를 연결할 수 있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더 높은 수준의 증거를 제공할 수 있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필요하다.)


저 논문의 결론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의학이나 과학 연구 방법론, 증례-대조군연구, 메타분석, 전향적 코호트 연구 등을 알아야지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단하게 과학(의학)연구 방법론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휴대폰과 암은 미끼였을 뿐...^^)

1. 메타 분석 (Meta analysis)

보통 비평을 비평하는 것을 메타비평이라고 하듯이 비슷한 주제에 관한 논문을 모아서 분석하는 것을 메타 분석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논문들은 실험대상의 수가 적기 때문에 대규모 연구를 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비슷한 연구들을 모아서 증례를 많게하여 분석하는 연구방법입니다. 위의 논문에서는 23개의 증례-대조군 연구가운데 blinding이 없었던 15개를 제외한 8개 연구결과만을 가지고 메타분석한 논문입니다. 


2. 증례-대조군 연구 (Case-Control study) 

증례-대조군 연구는 글자 그대로 질환의 case와 대조군(control)을 놓고 서로를 비교합니다. 예를 들면 암에 걸린 사람들(case)과 걸리지 않은 사람들(control)을 대상으로 휴대폰을 얼마나 사용했는가를 비교해보는 연구같은 경우죠. 과거의 경험이나 사례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증례-대조군 연구는 후향적 (retrospective) 또는 관찰적 연구라고 합니다. 


3. 전향적 코호트 연구(Prospective Cohort study)

코호트 연구는 위험인자의 유무를 먼저 조사하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 증상이 나타난 사람들로부터 그 위험인자와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방식으로 보통 전향적 cohort study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면 일군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빈도를 조사한 후에 나중에 그 사람들 가운데 종양이 나타난 사람들과 사용빈도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방식이 되겠습니다. (Cohort 연구는 후향적 연구도 있습니다.) 


4. 무작위 대조군 시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위의 연구 방법들은 모두 조사나 관찰에 의한 observational 연구입니다만 RCT는 대상을 랜덤하게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눈 후에 전향적으로 그 경과를 추적하여 효과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약물의 효과 등에 사용되는 방법이죠. 실제로 이런 방법을 휴대폰과 암의 경우에 적용하기는 힘들지만, 위의 휴대폰 예를 계속 들어서 설명해 보자면 무작위로 사람들을 모아서 한쪽은 진짜 휴대폰 사용을 오래 시키고 (실험군), 다른 한쪽은 전자파가 안나오는 휴대폰을 오래 사용시킨 다음에 (대조군) 나중에 과연 얼마나 실제로 암이 발생하였는가를 알아보는 방식이 되겠죠. 이 때 중요한 것은 실험자나 대상이나 모두 자기가 하고 있는 것이 어떤 것인지 모르는 double blind test를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이 외의 다양한 방식의 연구들에 대해서는 wiki의 biomedical research의 study design 부분을 참고해주세요. 아울러 저도 사실 이런 연구 방법론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는 사람인데 논문을 보면서 인터넷 자료를 찾아보며 그냥 독학으로 습득한 것이니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바랍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