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Biotechnology, 바이오텍의 모든 것
728x90

분류 전체보기 907

Pichia pastoris의 geome sequence가 보고되었군요.

이번 주 nature biotechnology의 따끈따끈한 논문입니다.Pichia pastoris의 geome sequence가 발표되었는데요. Pichia는 효모의 일 종으로 몇 안되는 commercially available eukaryotic expression host입니다. 보통 methanol로 induction하고 과거에는 발현 시스템을 invitrogen에서 판매를 했었는데 요즘에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찾아보니 Pichia.com 이라는 곳이 있네요.) 보통 단백질을 발현하고자 할 때 제일 먼저는 대장균에서 발현하지만 진핵생물의 단백질은 잘 발현이 안됩니다. 발현이 된다고 해도 원래의 단백질이 glycosylation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대장균은 glycosylation을 시키지..

수족구병에 대해 알아봅시다.

올 상반기에는 유난히 바이러스와 관련된 뉴스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작년 겨울 노로바이러스로부터 시작해서 연초에 제천의 AIDS 택시기사 사건, 신종 플루에 이어서 A형 간염과 수족구병으로 어린 아기가 사망하는 사건까지 바이러스 관련 질병들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수족구병에 대해서 한 번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1. 수족구병이란 무엇인가? 수족구병이란 영어로 Hand, foot and mouth disease, 약자로는 HFMD라고 부르는데 글자 그대로 손, 발, 입에 바이러스성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병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수족구병을 아구창과 혼동하시는 분들도 계시던데 아구창 (thrush = Oral candidiasis)은 Candida라는 곰팡이(효모)가 원인인 질병으로 주로 6개월 미만의..

수입밀가루를 먹으면 쥐가 죽는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제가 직접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그 결과가 궁금하시면 여길 클릭해보세요! (updated by 2013-09-02) "농약 덩어리 칼국수, 손님께 드릴 순 없죠" "아파트 말고 일반 주택이면 쥐약 놓을 필요 없어. 수입밀가루를 사서 습기 찬 곳, 쥐가 다니는 통로에 여기저기 놔두면 며칠 내로 그것을 먹은 쥐들이 다 죽어." 선배의 말대로 수입밀가루를 사서 물에 갠 다음 동글동글하게 만들어 여기저기 뿌려놓았는데, 정말 사흘이 지나자 쥐들의 시체가 서산서해(鼠山鼠海)를 이루었던 것이다. 이거 사실일까요??? 갑자기 실험 본능이 마구 샘솟는군요. 제가 동물실험 한다면 쥐 사다가 해보고 싶네요. 주변의 교수님들에게 해 봐 달라고 하면 쓸데없는 짓한다고 혼 날 것도 같은데... 사실 우리..

Socially Dangerous 2009.06.14

당연하게 삽시다.

오늘 두빵님의 포스팅 중의 일부입니다. 그렇게 말씀하시는 분들중에 발기문제를 완치 수 있는 방법은 술, 담배 중단하시고, 운동하시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라고 말씀을 드리면, 오히려 화내는 분들도 간혹 봐왔다. "아니 그거는 당연한거 아녀요....그걸 조언이라고 하는거에요? 그거 말고는 없어요?" 어쩌면 세상이 꼬여가는 이유는, 당연한 것이 가장 하기 어려운 것이라는 생각이 널려있고, 뭔가 쉬우면서도 뛰어난 비법을 찾으려고 들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살을 빼고 싶으면 조금 덜 먹고 조금 더 움직이면 되는 것이고, 건강하고 싶으면 담배 끊고 술 적게 마시고, 골고루 먹는 바른 생활을 하고, 뭔가를 잘 하고 싶으면 남들보다 조금 더 노력하고 등등 사실 세상엔 당연한 것들만 잘하면 되는 것..

세계 헌혈자의 날 - 혈액형의 과학

돌아오는 일요일은 World Blood Donor Day 세계 혈액 기증자의 날, 우리나라 공식적인 명칭은 “세계 헌혈자의 날”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혈액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보려고 합니다. 1. 세계 헌혈자의 날 (World Blood Donor Day)이란? 세계 헌혈자의 날은 세계보건기구, 국제적십자사연맹, 국제수혈학회, 국제헌혈자조직연맹이 함께 아무런 보상없이 헌혈을 하는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시하고 그들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한 날입니다. 매년 6월 14일을 세계 헌혈자의 날로 정했는데 2004년에 제정하고 2005년부터 기념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2. 왜 6월 14일을 기념일로 정했나요? 세계 헌혈자의 날이 6월 14일이 된 것은 ABO 혈액형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의학상을 수상한 칼 란트슈타..

기자님, 한글을 잘 읽어주세요.

바나나우유의 눈물 vs 하이트맥주의 굴욕 (전략) 바나나우유와 3년만에 편의점 1위 상품 자리에서 내려왔다. (중략) GS25가 상반기(1월 1일~6월 7일) 상품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2007년과 2008년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던 '바나나우유'는 3위로 내려 앉은 반면 200원짜리 '츄파춥스'가 새롭게 1위 자리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전통의 편의점 1위 상품인 '빙그레 바나나 우유'는 올해 3위로 밀렸다.최근 10여년 간 `참이슬`과 함께 1~2위를 다투던 인기상품이었으나, 참이슬은 저도주 경쟁에 밀리며 순위가 하락했고, 바나나우유도 진짜 바나나 논쟁으로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기자님, 기사 속의 사진 좀 보세요. 바나나맛우유랍니다. 앞으로는 바나나향우유라고 해야 된다네요. 합성향료를..

Socially Dangerous 2009.06.08

선과 악이 없는 무법과 불법의 세상 Chicago (2002) ★★★★

무법과 불법을 비웃는 춤과 노래 한 마당 ★★★★ "야, 어떻게 좋은 사람은 하나도 안나오냐?" 도덕이라는 것이 상대적이 되어버린 요즘에 과연 이런 감상이 옳은 것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요즘 부쩍 다시 생각나는 이 영화, 시카고. 죽을 만한 남자들, 그들을 죽인 여자들, 돈만 주면 여론을 조작해서 그 여자들을 살려주며 살아가는 변호사, 그 변호사와 짝짜꿍이 되어 놀아나는 언론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 그나마 록시 하트(르네 젤위거)의 남편인 에이머스 (John C Reiley) 정도가 그나마 좀 나을까 싶지만, 그 역시 아내에게 배반당하는 바보같은 인물, Mr. Cellophane (보이지도 않는 투명한 존재라는 뜻으로 에이머스가 부른 노래의 제목)이다. Chicago - Mr. Cellop..

뮤지컬 <레 미제라블> 10주년 기념 콘서트 실황 모음

무려 50일 가까이 작성했던 포스팅을 다 날렸습니다. 레미제라블의 줄거리, 등장인물, 각 곡의 가사와 내용등을 상세하게 작성했었으나 클릭 두번 잘못해서 다 날렸다는...T T 아무튼 지난 두 달 간, 저를 지탱시켜주고 옆에서 위로해 준 것은 이 뮤지컬이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장발장으로 잘 알고 있는, , 레 미제라블이죠.  1985년 초연 이후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진 뮤지컬이지만 1995년 10주년 기념 공연 실황, The dream cast in concert가 유투브에 올라와 있더군요. 덕분에 편하게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컴퓨터로 보는데도 그 감동이 전해지던데, 나중에 기회가 되면 꼭 실황 공연을 보고 싶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곡은 에포닌이 부른 On my own이었는데 노무현 대통령 서거 이후엔 D..

DNA 신원확인 정보 관리 입법 논란

여러가지 일 때문에 업데이트 못했던 내용을 이제야 올립니다. 시점이 과거라도 양해하시길.. 지난 주에는 노무현 전대통령의 서거라는 전 국민적인 슬픔이 있었습니다. 그 와중에 몇가지 뉴스들이 있었는데 그 중에 지난 5월 29일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을 입법 예고하여 향후 논란이 예고된다는 뉴스가 있었는데 오늘은 거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1.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이란 무엇인가? 이 법률은 흔히 “범죄자 DNA 관리법”으로 불리기도 하는데요. 법무부와 행정안전부는 2009. 5. 27. 흉악범 근절을 위한 대책의 하나로써 재범 위험성이 높은 흉악범들의 DNA신원확인정보를 따로 관리하여 범인의 조속한 검거에 활용하는『디엔에이신원확..

안녕, 노무현 대통령.......................

내가 그를 처음 만난 것은 재수생 시절. 아직도 언론은 그가 5공 청문회에서 벌떡 일어서서 호통치는 장면을 자료화면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내가 TV속에서 만난 그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호통을 치는 것이 아니라 자료를 하나씩 들고 꼼꼼하게 논리적으로 따지고 증인들의 무성의함을 혁파했습니다. 대중연설을 할 때는 멋지게 소리를 높이곤 했지만 그는 그렇게 호통을 치거나 막무가내의 사나이가 아니었습니다. 고졸출신이라는 주홍글씨를 가지고 살았지만 그 누구보다 논리적이고 지식인이었습니다. 그건 노무현을 만나본 거의 모든 사람들이 증언하는 것입니다. 노무현 이후로 나온 소위 "청문회 스타"들 중의 어느 누구도 노무현과 같은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습니다. 우리는 오늘, 우리나라에서 지식인이라고 불리울 수 있는 아주 드문 전..

박쥐 (Thirst, 박찬욱, 2009) ★★★

곽재용 영화의 예술영화 버전? ★★★ 말도 많고 논란도 많은 박찬욱 감독의 를 봤습니다. 어느 정도 예상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불편하지는 않았지만 핏물 분수와 바다, 뼈가 꺾이고 튀어나오는 좀비스러움은 약간 고역이더군요. 뭐 좀비영화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그게 재미일 수 있겠습니다만 저는 흡혈귀 영화도 거의 안보는 사람이라서요. 하지만 그래도 이 영화를 극장에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만든 것은 비주얼이나 쟝르야 어떻든 그 영화 속에 담긴 주제들을 직접 보고 느껴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성과 속, 죄와 구원, 욕망과 죄의식 등을 어떻게 다루었는지 궁금해서 말이죠. 그런데 영화를 딱 보고 나와서 든 생각은 엉뚱하게도 머리가 유난히 컸던 한 후배 녀석이었습니다. 그 후배는 엄청난 두뇌 용량을 자랑하며 고등..

뉴스 보다가 폭소하기...

신종 플루 백신에 대한 상반된 두 뉴스가 사람을 좀 헷갈리게 합니다. 충남대 연구팀, '신종플루' 백신 세계 최초 개발 (MBC뉴스) WHO, "신종플루 백신제조 수개월 걸릴 것" 아니 바이러스 분양 11일 만에 백신을 개발했다는데 왜 수개월씩 걸릴까, 생각하시겠지만 거기엔 복잡한 사연이 있을 것이구요. 충남대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백신(?)에 대한 검증 작업도 필요할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 하려던 이야기는 그게 아니고, 저 백신개발 뉴스를 보다가 뒤로 넘어질 뻔 했는데 일단 MBC 뉴스를 보셔야 합니다. 다 보기 싫으시면 1분 18초부터 보셔도 됩니다. 저 문 밖에서 기자님의 말이 끝나기만을 기다리며 cryobox를 밖에서 보이도록 거꾸로 든 채 바이러스 항체 튜브를 들고 서 있는 저 불쌍한 연구원의 모..

벤조피렌, 어디에 얼만큼 들었나?

혹시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작년 12월에 유기농 참기름에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검출되었다고 대대적으로 보도되고 리콜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식약청, `유기농참빛고운 참기름' 긴급회수(종합) 식품의약품안전청은 1일 대상의 OEM 업체인 ㈜하이원(경기도 이천 소재)이 제조하고 대상㈜이 판매하는 '유기농참빛고운 참기름'에서 기준치 2ppb를 초과하는 최대 4.64ppb의 벤조피렌이 검출돼 긴급 회수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그리고 오늘은 한약재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었다는 뉴스가 났더군요. 1급 발암물질이라더니 벤조피렌이었습니다. 한약재서 1급발암물질 무더기 검출(종합) 이번 모니터링 결과 감국, 강황, 대황, 속단, 승마, 여정자, 연교, 오매, (건)지황, 초과, 향부자, 현삼, 황금, 후박 등 국내 유통 ..

에디슨의 격언, word play

오늘 발명의 날인데요. 보통 발명하면 에디슨, 에디슨은 발명의 아버지, 그리고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 라는 에디슨의 말이 자동적으로 생각이 나곤 합니다. 그런데 정확하게 에디슨은 뭐라고 했을까요? (실은 오늘 아침 라디오 프로에서 퀴즈로 나와서 저도 다시 찾아본 것입니다.) Wiki Quote에 따르면 에디슨이 한 말은, Genius is one percent inspiration, ninety-nine percent perspiration. 이라고 합니다. 직역하면 "천재는 1%의 영감과 99%의 땀이다."라는 뜻인데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inspiration과 perspiration의 댓구지요. inspiration이야 영감이라는 뜻의 잘 아는 단어인데 perspirati..

좋은 (과학) 멘토를 위한 가이드

일전에 말씀드린 사이언스 타임즈에 올라온 기사와 그 원문인 네이처의 글을 가지고 과학계에서 좋은 멘토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성품과 팁들을 정리하고 제 생각을 약간 덧붙인 내용입니다. 지난 금요일은 스승의 날이었습니다. 그런데 세계적인 과학잡지인 네이처에서는 지난 2005년부터 "네이처 과학 분야 창의적 멘토링 상(Nature Awards for Creative Mentoring in Science)"을 제정하여 매년 2명씩을 선발, 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스승이 좋은 스승일지에 대해서 2007년 6월에 네이처는 '멘토를 위한 네이처 가이드'라는 글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요. 물론 과학계의 지도교수를 대상으로 씌어진 글이긴 하지만 좋은 내용이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꼭 과학계에만 해당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