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biochem.arizona.edu/
그런데 글루코스 앞에는 D-, 또는 L-라는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는 글루코스가 사실은 거울상 이성질체 (enantiomer)를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글루코스를 합성한다면 두가지 형태로 존재가 가능하고 우리가 그냥 "글루코스"라고 표기한다면 이 둘 중의 어느 형태인지 구분이 안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대부분의 탄수화물들은 D-form이고 그래서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전분이나 셀룰로스를 분해하여 글루코스를 만든다면 그 글루코스는 D-glucose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 때 D-glucose를 바로 dextrose라고 합니다. 특히 식품공업에서 많이 쓰는 용어로 당량이라는 표기를 "Dextrose eqivalent (DE)"라고도 합니다.
L-glucose는 실제로 생물체 내에서 대사가 되지 않고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만드는 방법이 매우 복잡합니다. Dextrose에서 원래 "Dexter"라는 어근의 뜻이 라틴어로 오른쪽 (right)이라는 뜻이라고 하는데 그래서 우선형의 글루코스 (D-glucose)를 일컫는다고 합니다. D-form sugar는 우선형에 시계방향의 순위를 갖는다고 하죠.
'이전 바이오텍 카테고리 > It's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나 비교대상은 정확해야 합니다. (13) | 2010.03.16 |
---|---|
과학(의학) 연구 방법론 (2) | 2009.10.20 |
Glucose와 Dextrose의 차이는? (14) | 2008.09.20 |
Tris, Tris base, Trizma base의 차이는? (0) | 2008.09.01 |
살균용으로 70% 알콜을 사용하는 이유 (0) | 2007.11.28 |
개미산, 호박산, 주석산 등 유기산의 이름과 기원들 (1) | 2007.11.14 |
그래서 dextrose를 우선당(右旋糖)이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교수님께서 이렇게 상세하게 늘 일러주시니 학생들이 아주 배우는 맛이 나겠습니다.
답글
한때는 그 우선당이 여러당들이 있을때 포도당을 우선 사용하므로 우선당이라고 생각했었지...
실험실 스케일에서 발현시켜도 L보다는 D가 많이 나오나요? 아무래도 인공이라서 반반정도 나오지 않을까 갑자기 궁금해집니다..... 'ㅅ' ;
답글
발현을 한다는 것이 정확하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지만 발효를 의미하신다는 것이라면 D-form만이 나올 겁니다. L-glucose를 효소로 생산하는 방법도 있는데 카가와 대학 Izumori 선생이 고안한 몇가지 효소로 생합성하는 방법이 있지요.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그저 Glucose와 Dextrose 가 같은 거라고만 생각을 했는데
이렇게 명쾌하게 설명해 주시니 너무 좋으네요 ^^
답글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고맙습니다. 헛갈렸는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시네요. ^^
답글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말고사 공부를 하다가 헤깔려서 찾아보게 되었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안녕하세요. 저는 미국에서 산업분류표를 만드는 작업을 일을 하는 직장인입니다. dextrose와 관련된 지식이 필요해서 인터넷을 검색하던 중 이 페이지를 발견하였어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
식품기사를 공부하다가 헷갈렸는데 명쾌한 해답 감사합니다~
답글
선생님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답글
최고의 설명이었습니다.
답글
설명 감사합니다.^^
미래에서 잘 보고 가요.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