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Biotechnology, 바이오텍의 모든 것
728x90

Socially Dangerous 128

에리트리톨 (Erythritol) 심장마비 뇌졸중 유발 논란?

최근 설탕대체 감미료인 에리스리톨 (erythritol)이 심장마비나 뇌졸중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높여준다 (정확하게는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언론에서 다루지 않는 몇가지만 이야기하고 가려고 합니다. 1. 에리트리톨은 인공감미료인가? No! 아닙니다. 에리스리톨은 자연에도 존재하는 물질입니다. 미생물에 의해서도, 즉 발효를 통해서도 만들어집니다. 아래 표에서 보시다시피 에리스리톨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들은 대부분 발효식품 (사케, 미소된장, 간장, 와인)입니다. 산업적으로 생산할 때도 효모의 일종인 Moniliella pollinis 같은 균을 이용해 발효해서 만듭니다. 그런데 왜 네이처 메디슨이라는 엄청 유명한 저널에서 논문 제..

Socially Dangerous 2023.03.02

밀떡볶이 vs 쌀떡볶이 어느 게 더 맛있냐구요?

음식 비교 논쟁이 여러가지 있습니다. 탕수육 부먹 vs 찍먹, 콩국수에 설탕 vs 소금, 순대에 소금 vs 막장(전라도는 초장?) 같은 것들이죠. 그 중에 떡볶이 밀떡 vs 쌀떡 논쟁도 꽤 치열한 논쟁 중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제 경험으로는 서울/수도권 사람들은 밀떡, 부산/경남은 쌀떡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서울 신당동 떡볶이의 밀떡, 부산 다리집 떡볶이의 쌀떡이 그 대표를 나타내는 걸까요? 음식 문화적 측면에서는 그럴듯하기도 합니다. 설 명절에 쌀이 많이 나는 남쪽은 쌀로 만든 떡국, 밀이 많이 나는 북쪽은 밀가루피로 만든 만둣국을 먹기도 하죠. 문제는 문화적으로 이런 차이가 있구나, 로 끝나지 않고 어느 게 더 맛있다고 싸우는 경우입니다. 맛있는 게 뭔데요, 라고 물으면 정답..

Socially Dangerous 2022.04.07

크릴 오일에 대해 알아봅시다.

몇 달 전에 크릴 오일과 관련해서 부산 MBC에서 문의가 와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뒀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뒤늦게 크릴 오일과 크릴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저기서 보이더군요. 그리고 과학과 사람들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 에서 다루기도 했구요. 그래서 자료를 블로그에 옮겨 봅니다. 1. 크릴 새우는 새우가 아니라구요? 크릴이 새우와 비슷하게 생긴 갑각류라서 크릴 새우라고 많이 부르지만 실제로 새우와는 종이 다릅니다, 새우는 십각목(Decapoda), 크릴은 난바다곤쟁이목(Euphausiacea)이랍니다. 뭐 솔직히 동물 이름은 워낙 다양하고, 형태적으로 비슷한데 전혀 다른 종도 많아서 중요한 건 아닙니다. 아무튼 크릴은 전세계 바다에 분포하는데 특히 남극해 지역의 여러 생물들(고래, 바다표범 등)의 먹이로..

Socially Dangerous 2020.03.21

한국 코로나바이러스 진단키트 적절성 논란에 대한 정리

0. 이 논란의 시작은 "미국 FDA "한국 코로나 키트, 비상용으로도 적절치 않다"는 기사에서 시작. (현재는 내용 중 일부가 수정되었습니다.) 1. 오늘 아침 사단의 원인은 미국 청문회에서 한국 진단키트가 적합하지 않다는 소릴 듣자마자 저게 무슨 뜻인지 따져보지도 않고 일단 질러버린 언론에 있다고 생각함. 2. 대중들은 항체진단이 뭔지 분자진단이 뭔지 모르니, 라는 제목만 보고 또 싸움이 붙을 수 밖에 없음. (하긴 아래의 미국 하원의원도 헷갈렸으니, 심지어 의사출신 의원인데...) 3. 결론을 먼저 이야기하자면 미국 FDA가 한국 진단법은 not adequate하다고 말했다는 것은 not accurate이 아님. 즉 진단방법의 부정확함이 아니라 긴급승인같은 과정으로 한국 키트를 사다 쓰는 것이 부적..

Socially Dangerous 2020.03.15

한국의 사스(SARS) 감염자는 몇 명이었을까요? (+자진납세)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때문에 온 세상이 시끄럽습니다. 그덕분에 과거 국내에서 있었던 바이러스 감염 사태와 방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건 메르스 때 호들갑 떨지 말라고 하셨던 분들이 지금 아주 큰 목소리를 내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아래 @Juneyuwall님 트윗을 보면 그간의 상황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도 관심 없지만 제 눈을 사로잡은 데이터가 하나 있었으니, 2003년 국내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감염자가 3명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랬나, 싶어 찾아보니 제 책에는 1명이라고 적어 놓았더군요. 뭐가 맞는지 궁금해서 구글을 찾아보았더니 영문위키에는 4명이라고 나오고, 다른 곳에서는 0명이라..

Socially Dangerous 2020.01.28

우주최강 생물체 물곰, 팩트체크를 해봤습니다.

"10월의 하늘"이 올해 10주년이라길래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어린 학생들이 올지도 모른다고 해서 강의자료를 바꾸다가 미생물은 아니지만 물곰 이야기를 살짝 하면 어떨까 싶었습니다. 사실 명색이 극한미생물 연구자이다 보니 물곰(곰벌레) 뉴스가 자주 눈에 띕니다. 과학 팟캐스트들에서도 자주 다루는 생물이구요. 물곰에 관해서는 올해들어서만도 이런 뉴스들이 있었습니다. [핵잼 사이언스] 지구최강 생명체 '곰벌레' 극강 생존 비결은? (2019.10.05)달에서 살아남은 ‘물곰’은 어떻게 될까? (2019.08.08) 웬만해선 안 죽는다는 '물곰'에게서 극한생존 열쇠 찾는다 (2019.03.21)원폭에도 끄떡없고 영하 273도에 사는 ‘천하무적’ 생명체 (2019.01.24) 분명 흥미로운 생물이지만 물곰..

Socially Dangerous 2019.10.17

얼린 두부가 단백질 6배에 가슴이 뭐가 어떻다구요?

얼마전 두부에 대한 방송 원고를 쓰는 중에 정재훈 선생님 페이스북에서 재미있는(화나는?) 글과 동영상을 봤습니다. 두부를 얼려먹으면 단백질이 6배가 되고 심지어 가슴이 커진다는 내용에 대한 비판이었습니다. 세상에, 그런 소리를 하는 사람이 있다구요? 그런데, 찾아보니 정말 그런 소리가 있고 언론에 여러 번 인용되었더라구요. ㅠㅠ 여기에 대한 비판은 아래 동영상 하나 보시면 대충 해결이 됩니다. 이 편식방이라는 프로그램에 관심도 좀 가져주시구요. 아무튼 이 얼린두부의 헛소리(?)는 종편의 한 방송에서 시작해서, 같은 방송국에서 재탕하고, 모월간잡지에서 재탕하고, 심지어 정부기관에서도 카드뉴스로 만들어 홍보하고, 지상파 방송의 뉴스에까지 나왔다고 합니다. 정말 어이 없는 일이죠. 얼린 두부에 대한 헛소리는 ..

Socially Dangerous 2018.09.01

인삼의 두 얼굴? 식품이란 그런 겁니다.

1. 오늘 열차에서 흥미로운 기사를 두 편 보았습니다. 2. 첫번째 뉴스는 인삼(흑삼)이 좋다는 뉴스입니다. 제목은 "흑삼 추출물, 고온 스트레스 방어ㆍ면역 도움” 유럽학회서 발표"입니다. 기사 중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KGR-BG1은 근육과 비장에서 고온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반응인 염증 사이토카인의 증가를 억제해 염증을 저해하고, 면역 항상성을 유지해 면역질환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기서 유효성분인 "KGR-BG1은 사포닌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 Rg5 및 Rk1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5번 증숙하고 건조한 흑삼으로부터 별도의 추출과정을 거쳐 제조한 것"이라고 기사에 나와 있습니다. 그러니까 진세노사이드 Rg3가 들어 있는 추출물이 몸에 좋다는 겁니다. 3. 두번째 뉴스는 인..

Socially Dangerous 2018.07.02

케모포비아? 화학은 죄가 없습니다.

오늘 이런 기사가 떴더군요. "내가 잔 침대에서도.." 케모포비아 확산..소비자 '분통' 최근 대진침대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의 최대 9배가 넘는 방사선 물질 '라돈'이 검출된 가운데 침대를 회수하는 리콜 조치가 원할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리콜 조치가 늦어지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른바 '케모포비아'(chemophobia·화학물질 공포증)의 확산이다. 소비자가 분통 터지는 건 이해가 갑니다. 그런데 왜 그게 케모포비아일까요? 케모포비아로 이름을 붙이면 안된다고 봅니다. 이름을 어떻게 붙이느냐에 따라 논의의 방향이 달라집니다. 오히려 분통의 대상은, 별로 효과도 없고 비과학적인 것들을 대단한 것인양 포장해서 파는 업체와 관련 분야 전문가에게 ..

Socially Dangerous 2018.05.25

소위 햄버거병(용혈성요독증후군, HUS) 논란을 바라보며

최근 여기 저기서 용혈성요독증후군(HUS, Hemolytic Uremic Syndrome), 소위 '햄버거병'에 대한 뉴스와 관련 의견들이 들려옵니다. 먼저 어린 아이가 아프다는 것 자체가 너무 안타깝고 원인이 잘 밝혀지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런 식중독 사건의 원인을 밝히는 길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 관심을 많이 받는 기사가 하나 있습니다. "HUS가 햄버거병이 아닌 까닭"이라는 기사입니다. 이 기사를 보고 여러 식품 또는 의학 관계자들이 이번 사건이 햄버거 때문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SNS에서 하고 있기도 합니다. 저는 시간을 갖고 면밀히 조사해보지 않고는 그 원인을 모른다는 입장이지만 이 기사에서 이야기한 2011년 독일의 HUS 사례는 이번 국내 사건과 다른 케이스일 ..

Socially Dangerous 2017.07.12

가습기 살균제 성분 치약 논란 간단 정리

오늘 저녁 포탈 사이트 대문에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들어간 치약 11종에 대한 긴급 회수 뉴스가 걸리면서 많은 사람들이 분노하고 있습니다. 우린 이런 뉴스를 보면 자연반사적으로 분노하는 습관이 있는데 한 번 잘 따져보도록 하시죠. 1. 치약에서 검출된 가습기 살균제 성분은 무엇인가요? 치약에서 검출된 성분은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물(CMIT/MIT) 입니다. 하지만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서 문제가 된 성분은 소위 구아디닌(guanidine) 계열의 화학물질인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와 PGH(Oligo(2-(2-ethoxy)ethoxyethyl guanidine chloride)입니다. 현재까지 PHMG와 PGH의 호흡독성은 거의 확실히 밝혀졌지..

Socially Dangerous 2016.09.27

양식 연어는 회색이고 색소를 첨가한다?

최근에 페이스북에서 아래와 같은 포스팅을 봤습니다. "우리가 먹는 연어의 대부분인 양식 연어. 자연산과 달리 회색빛이라 사료에 주홍빛 색소를 첨가하는데 국내에선 이를 표기하지 않습니다."라는 글과 사진에 공유가 1,589개, 좋아요가 10,000명 가까이 되더군요. 그리고 수 없이 달려있는 감사의 댓글...그런데 그건 사실일까요? 제가 보기에 이 이야기는 절반쯤은 맞고 절반쯤은 틀린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간만에 그 이야기를 해보죠. 1. 야생 연어의 색깔은 붉은 색인가? 일단 연어의 색깔은 뭘 먹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즉 연어의 색깔은 연어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먹이를 먹어서 그게 쌓이는 것이라는 거죠. 사실 오메가-3 지방산이 많은 등푸른 생선도 자기가 오메가-3 지방산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메가-..

Socially Dangerous 2016.04.06

올리브유는 튀김에 적당한가?

요즘 요리남이 대세가 되고 먹방이 인기를 끌면서 식품에 대한 글을 쓰시는 분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최근 제가 가장 주목하는 저자는 정재훈 선생님입니다. 그 분의 이라는 책은 강추입니다. 연구년 나가 있는 동안 서평만 보고 러시아까지 가서 받아와 읽었으니까요.ㅎㅎ (미국에서 연구년 기간 동안 러시아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하면서 한국에서 오시는 분께 가져다 달라고 했죠.) 최근엔 올리브 매거진 코리아라는 매체에 정기적으로 기고를 하고 계신 것 같은데 좋은 글이 많습니다. 하지만... 두둥~ 식용유가 풍요로운 시대 통념과 달리, 올리브유는 튀김 요리에도 적합하다. 2014년 튀니지의 과학자들이 발표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190°C에서 딥 프라잉(Deep Frying)을 반복했을 때 올리브유가 ..

Socially Dangerous 2015.10.20

SBS 스페셜 천일염 방송의 논점과 천일염의 위생

과거 제가 주로 고온성 극한미생물을 연구했었는데 최근 몇 년 호염성 극한미생물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금 하고 있는 연구가 바로 소금 속 미생물 연구입니다. 그래서 천일염 논란이 한참일 때 입이 근질근질 했지만 당장 급히 해야 하는 다른 일들 때문에 조용히 지내고 있습니다. 그 할 일 중 하나는 책을 쓰는 일입니다. 지난 주말 계약서를 받아서 오케이를 했으니 이제 미친듯이 쓰는 일만 남았네요. 현재 절반 쯤 썼는데 연말까지 원고를 마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 와중에 어제 SBS 스페셜에서 천일염 방송을 했더군요. 오늘은 (다른 일로) 마음이 싱숭생숭한 김에 그 이야기나 잠깐 해볼까 합니다. 천일염 논란에서 첫번째로 하고 싶은 이야기는 이 논란이 실은 여러 가지 다른 식품에도 적용될 수 있..

Socially Dangerous 2015.09.14

꿀도 금속 수저로 먹지 말라구요?

이쯤되면 금속수저 괴담이라고 불러야 할까요? 어제 요거트와 금속 수저 2탄을 포스팅하고 났더니 트윗으로 질문이 들어왔습니다. "꿀도 금속 수저로 먹으면 안되나요?" 대체 이건 무슨 소리일까 싶어서 찾아보니 역시 그런 소문이 돌고 있더군요. 그래서 그 이유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다음과 같은 몇가지 이유로 정리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꿀은 효소이므로 금속 수저에 닿으면 안된다?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뭐 더 이상 할 말이 없지만 그래도 덧붙이자면 꿀은 당분이 85%내외 물이 15% 내외 나머지 성분은 눈꼽 만큼도 안됩니다.(물론 어떻게 채취하느냐에 따라 차이는 좀 있지요.) 아무튼 꿀이 효소라는 것은 예전에 설탕 절임을 효소액이라고 팔아먹던 이야기와 비슷한 겁니다. 효소액이 들어 있어도 극미량..

Socially Dangerous 2015.05.0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