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얻은 막걸리의 원료와 첨가물, 특징 등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행사 후 남아서 모아본 막걸리들.
1. 부산의 막걸리 생탁 (부산합동양조)
1) 제품 유형 : 생막걸리
2) 원료 : 쌀 80%, 소맥분 9%, 전분당 11%
3) 알콜 농도 6%
4) 첨가물 : 아스파탐 0.011%
5) 유통기한 : 저온(10도 이하)에서 10일
생막걸리의 도시 부산을 만든 생탁
2. 민속주 1호 산성막걸리 (금정산성토산주)





1) 제품유형 : 생막걸리
2) 원료 : 백미 100%
3) 알콜 농도 8%
4) 첨가물 : 표기 없슴
5) 유통기한 : 저온(10도 이하)에서 10일
누룩맛이 살아있는 산성막걸리
3. 국순당 생막걸리
1) 제품유형 : 생막걸리
2) 원료 : 백미 100%, 감초
3) 알콜 농도 6%
4) 첨가물 : 아스파탐 0.009%
5) 유통기한 : 저온(10도 이하)에서 30일 (법적표시사항은 10일)
생막걸리 중에서 유통기간이 가장 긴 국순당 생막걸리
4. 국순당 쌀막걸리 (캔)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백미 100% (수입산), 감초
3) 알콜 농도 7%
4) 첨가물 : 표기 없슴
5) 유통기한 : 1년
막걸리를 캔으로 만든 국순당 캔 막걸리
5. 국순당 미몽 (고급막걸리)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쌀 100% (국내산)
3) 알콜 농도 7%
4) 첨가물 : 인삼
5) 유통기한 : 1년
국순당의 야심작, 고급막걸리 미몽
5. 월매막걸리 (서울탁주)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백미 90%, 말토올리고당 10%,
3) 알콜 농도 6%
4) 첨가물 : 아스파탐 0.011%
5) 유통기한 : 1년
서울에서 제일 잘 나간다는 장수막걸리 캔제품
6. 이동 쌀막걸리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백미 60%, 소맥분 40%,
3) 알콜 농도 6%
4) 첨가물 : 아스파탐
5) 유통기한 : 1년
밀가루가 많이 들어있는 이동막걸리.
7. 이동 쌀막걸리 팩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백미 80%, 소맥분 20%,
3) 알콜 농도 6%
4) 첨가물 : 아스파탐 0.012%
5) 유통기한 : 10개월
외국용이라서 그런지 영양성분표가 붙어있는 팩막걸리
8. 일동 조껍데기 막걸리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백미 60%, 소맥분 20%, 전분 10%, 좁쌀 10%
3) 알콜 농도 6.5%
4) 첨가물 : 아스파탐
5) 유통기한 : 6개월
좁쌀이 들어있는 조껍데기술
9. 가야곡 청매실 막걸리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백미, 소맥분(밀), 전분당
3) 알콜 농도 7%
4) 첨가물 : 매실
5) 유통기한 : 6개월
10. 우리술 사과 막걸리

1) 제품유형 : 살균막걸리
2) 원료 : 백미, 소맥분(밀), 사과 6%
3) 알콜 농도 6%
4) 첨가물 : 아스파탐
5) 유통기한 : ???
이외에도 포천일동막걸리나 서울장수막걸리도 있었는데 병을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생막걸리는 유통기한이 10일인데 국순당은 1개월이라는 것이 조금 독특하고, 대부분 아스파탐으로 단맛을 낸다는 것, 그리고 알콜 농도는 산성막걸리가 제일 높다는 것 (8%), 의외로 밀가루가 많이 들어간 제품이 별로 없다는 것 (원래 누룩에는 밀을 쓰는 것이 전통적인데...), 국순당막걸리에는 감초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 조금 독특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Foods > 막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걸리 엑스포 참관기 - 막걸리에 대한 동상이몽 (8) | 2009.11.21 |
---|---|
이런 행사가 있다고 합니다. (5) | 2009.11.12 |
막걸리는 무엇으로 만들었을까요? (17) | 2009.10.23 |
어느게 제일 맛있을까요??? (6) | 2009.10.22 |
막걸리에 풍부한 트립토판과 메티오닌? (2) | 2009.05.14 |
막걸리에 유산균??? (2) | 2009.05.14 |
국내산 쌀을 100% 사용하는 업체가 있다는게 놀라운데...ㅎㅎ
답글
저 국순당 고급막걸리 미몽은 막걸리용으로 특별 품종개량한 쌀을 사용하고 있다더군. 그 농가들은 꽤 짭짤했다고... 맛한번 볼텐가??? ^^
맛보세...
구덕산에서?ㅎㅎ
이야....이제 진짜 막걸리 전도사가 다 되었군요.
전 막걸리에 대해서는....
학창시절때 막걸리를 대야로 먹고는 쓰러져...며칠간 머리아픈것때문에 엄청 고생한 이후로는....
별로...라서.요.
근데 저 많은 사진을 다 찍어서 정리하신 노력이......감동입니다...^.^
답글
이건 전도목적이 아니라 호기심 충족 목적입니다.^^
저는 심지어 막걸리 좋다고 이야기해야 하는 곳에 가서도 음주는 1급 발암인자입니다, 이런 소리 해서 분위기 싸하게 만들죠.^^
막걸리 이야기만 나오면 반사작용으로 떠오르는 막걸리에 대한 제 추억.
어렸을 때 논농사를 많이 짓는 조부모님덕택에 늘 막걸리 심부름은 내차지.
우리집에 일년 계약한 머슴이나,아니면
나락베기,모심기 같은 큰규모논농사에 동원된 일꾼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그 막걸리를 늘 나한테 시켰는데요....막걸리배달하는 동안 찔끔찔끔 마셔대던.맛
논에 도착할 때 쯤엔 알딸딸 취한....정도는 안가도...막걸리맛이 참 좋았던.ㅋ
소주이름이? 금복주그림있던.. 부산토박이 주류회사는 망했나요?갑자기 궁굼
답글
금복주는 경북 지역의 소주회사고 아직도 남아 있는 것으로 압니다. 부산은 대선조주이고 롯데우유에 인수되기도 했었지만 아직 부산에선 시원(C1)소주가 한 70% 정도를 점유하고 있지요.
사과막걸리... 상상해봤을 때는 상당히 맛있을 것 같군요.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
답글
이마트에서 구입했습니다. 잘 찾아보시면 있을 겁니다.
못마셔본게 많네요..^^
장수는 부산에 없는건가요? 담에 공수해드릴까용?=3=33
답글
사실 저것들 구하는데 마트를 여러번 다녔습니다. 장수막걸리는 이마트에만 있는데 딱 한 병있더군요. 아무래도 부산은 생탁이 꽉 잡고 있어서요.
한꺼번에 비교하면 맛차이를 분명히 알수 있겠네요. 어떤지요? 저는 시간 간격을 두고 따로 먹어봐서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생막걸리가 살균 막걸리에 비해 훨씬 맛있었습니다. 생막걸리가 맛이 더 풍부한 느낌이었습니다.
답글
사실 맛은 워낙 상대적이라 객관화하기 어려운데 제 느낌에 생막걸리는 탄산느낌이 좀 강하다는 생각입니다. 국순당 막걸리들은 조금 덜 달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텁텁한 맛을 좋아하느냐 깔끔한 맛을 좋아하느냐에 따라서도 엇갈릴텐데, 전통 방식에 제일 가깝다는 산성막걸리가 제일 텁텁하죠. 술 좋아하시는 분들은 좋아하시겠지만 여성들에게는 약간 인기가 없을 듯해요. 개인적으로는 고급막걸리인 국순당 미몽이 제일 좋았는데 블라인드 테스트가 아니라서 신뢰는 할 수 없죠.^^
그렇군요. 서울이라 장수막걸리 위주로 먹었는데 국순당 미몽같은 살균막걸리를 시도해 봐야 겠습니다.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답글
순수주와 가공주의 차이때문에 일본으로 수출하는 막걸리에는 감미료를 넣지 않는다고 들었읍니다.
이본에선 가공주를 저급주로 취급한다고..아스파탐 0.00몇프로의 맛의 차이가 어떤지 궁금하네요.
답글
제가 알기로는 일본 수출품에도 대부분 아스파탐이 들어갑니다. 안들어가면 막걸리 맛은 일부 주당들을 제외하곤 대부분 싫어합니다. 특히 단 맛을 좋아하는 일본인들은 더 그렇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