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학원 영어선생님 왈 "철학이란 누구나 아는 것을 자신을 포함하여 아무도 모르게 말하는 것이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조금 심하게 말하자면 이 책이 바로 그런 류이다.
우리는 세계를 보수와 진보, 좌익과 우익, 자유주의와 공산주의로 분류하지만 그 속에는 다 같이 진보 사상이 자리잡고 있다. 그것은 계몽주의에서 씨를 부리고, 다윈이 자라게 했는데 이상하게도 두 개의 다른 열매를 맺어왔다. 그리고 그 열매들은 단 듯했지만 의외로 쓴 것이어서 이제 사람들이 그 열매를 식용으로 써야 하나 말아야 하나를 고민하고 있다. 바로 그 질문이 "진보는 죽은 사상인가?"인데 저자 21명의 대답은 다 엉뚱하다.
토론에서 가장 빈번한 짜증거리는 '정의'를 다르게 해 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들은 대부분 그 방식을 택한다. 그러니까 기존의 '진보'라는 개념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정의를 바꾸는 것은 결론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또다른 질문만을 만들 뿐이다. 그렇다면 이 책도 그렇게 짜증나게 만들까? 유감스럽게도 그렇지는 않다.
이 책은 <르 몽드>에 연재된 간단한 칼럼들의 모음으로서 그 유명한 택시운전사 홍세화씨가 옮긴 책이다. 내용이 아주 간결하고 재미있다. 게다가 21명의 저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교수, 기자, 선생, 과학자, 인문학자, 철학자, 사회학자 등등 다양하다. 그리고 그들의 결론 또한 다양하다. 굳이 크게 하나로 묶자면 "미래는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그래도 열심히 살아야 한다느니, 그러니까 열심히 살아야 한다느니 이런 저런 말들을 하지만 결국 끝은 아무도 모른다. (실존주의 벼랑의 끝에서 자존심만 남아있는 사람들의 군상...)
"예측할 수 없음, 불안정, 불확실함에 직면하여 인간은 그들의 자유로 정치는 그들의 책임으로 돌아갔다."(토마 페렌지, 기자)
"차라리 역사를 미로에 비유하는 편이 나을 것 같다." (자크 아탈리, 미테랑 전 대통령 보좌관)
"절망도 행복도 없는 영원한 혼란"(파스칼 브뤼크네, 교수)
"신의 섭리도, 역사도, 과학도 절대 진리를 보장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어느 때 보다도 역사를 만드는 것은 우리 자신이다."(다니엘 벤사이드, 철학자)
"진보의 신화는 소멸했다. 그러나 진보의 개념은 불학실성과 복합성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활기를 찾고 있다."(에드가 모랭, 사회학자)
"모든 게 잘되기도 하고 잘못 되기도 한다. 그게 인생이다. 그러니 노력하자." (베르나르 쿠쉬네, 급진사회당 대표)
"바람직한 미래에 관한 사상이 제시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불확실하다는 것은 다른 문제다." (알랭 베르구니우, 사회당 국가비서국원)
"정치적인 그리고 윤리적인 가치들이 '과학'의 참조로 주장될 수 있는게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도미니크 르쿠르, 교수)
"미래를 어둡게 그리는 일은 그만두자! 미래는 휘황찬란하다." (이브 코펜스, 고인류학 교수)
재미있는 것은 고인류학자만이 진보 사상을 적극 지지한다는 점이다. 물론 이건 그의 학문에 바탕을 둔 인류 진화의 역사에 대한 신념이 작용한 까닭이겠지만 왠지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든다.
과학이 종교를 대치한지 이제 겨우 200년 정도인데, 과학도 그 자리에서 내려올 준비를 한다. 니체는 "신의 죽음"을, 푸코는 "인간의 죽음"을, 나는 "과학의 죽음"을 외쳐 볼까나...(하하하)
인간은 인간의 자리에 있을 때 제일 아름답다.
우리는 세계를 보수와 진보, 좌익과 우익, 자유주의와 공산주의로 분류하지만 그 속에는 다 같이 진보 사상이 자리잡고 있다. 그것은 계몽주의에서 씨를 부리고, 다윈이 자라게 했는데 이상하게도 두 개의 다른 열매를 맺어왔다. 그리고 그 열매들은 단 듯했지만 의외로 쓴 것이어서 이제 사람들이 그 열매를 식용으로 써야 하나 말아야 하나를 고민하고 있다. 바로 그 질문이 "진보는 죽은 사상인가?"인데 저자 21명의 대답은 다 엉뚱하다.
토론에서 가장 빈번한 짜증거리는 '정의'를 다르게 해 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들은 대부분 그 방식을 택한다. 그러니까 기존의 '진보'라는 개념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정의를 바꾸는 것은 결론을 불가능하게 만들고 또다른 질문만을 만들 뿐이다. 그렇다면 이 책도 그렇게 짜증나게 만들까? 유감스럽게도 그렇지는 않다.
이 책은 <르 몽드>에 연재된 간단한 칼럼들의 모음으로서 그 유명한 택시운전사 홍세화씨가 옮긴 책이다. 내용이 아주 간결하고 재미있다. 게다가 21명의 저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교수, 기자, 선생, 과학자, 인문학자, 철학자, 사회학자 등등 다양하다. 그리고 그들의 결론 또한 다양하다. 굳이 크게 하나로 묶자면 "미래는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그래도 열심히 살아야 한다느니, 그러니까 열심히 살아야 한다느니 이런 저런 말들을 하지만 결국 끝은 아무도 모른다. (실존주의 벼랑의 끝에서 자존심만 남아있는 사람들의 군상...)
"예측할 수 없음, 불안정, 불확실함에 직면하여 인간은 그들의 자유로 정치는 그들의 책임으로 돌아갔다."(토마 페렌지, 기자)
"차라리 역사를 미로에 비유하는 편이 나을 것 같다." (자크 아탈리, 미테랑 전 대통령 보좌관)
"절망도 행복도 없는 영원한 혼란"(파스칼 브뤼크네, 교수)
"신의 섭리도, 역사도, 과학도 절대 진리를 보장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어느 때 보다도 역사를 만드는 것은 우리 자신이다."(다니엘 벤사이드, 철학자)
"진보의 신화는 소멸했다. 그러나 진보의 개념은 불학실성과 복합성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활기를 찾고 있다."(에드가 모랭, 사회학자)
"모든 게 잘되기도 하고 잘못 되기도 한다. 그게 인생이다. 그러니 노력하자." (베르나르 쿠쉬네, 급진사회당 대표)
"바람직한 미래에 관한 사상이 제시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불확실하다는 것은 다른 문제다." (알랭 베르구니우, 사회당 국가비서국원)
"정치적인 그리고 윤리적인 가치들이 '과학'의 참조로 주장될 수 있는게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도미니크 르쿠르, 교수)
"미래를 어둡게 그리는 일은 그만두자! 미래는 휘황찬란하다." (이브 코펜스, 고인류학 교수)
재미있는 것은 고인류학자만이 진보 사상을 적극 지지한다는 점이다. 물론 이건 그의 학문에 바탕을 둔 인류 진화의 역사에 대한 신념이 작용한 까닭이겠지만 왠지 무책임하다는 생각이 든다.
과학이 종교를 대치한지 이제 겨우 200년 정도인데, 과학도 그 자리에서 내려올 준비를 한다. 니체는 "신의 죽음"을, 푸코는 "인간의 죽음"을, 나는 "과학의 죽음"을 외쳐 볼까나...(하하하)
인간은 인간의 자리에 있을 때 제일 아름답다.
728x90
'블로그 주인장 이야기 > 책 영화 음악 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웅시대와 태백산맥 (0) | 1997.10.24 |
---|---|
접속 (0) | 1997.10.04 |
논어 (論語) (0) | 1997.10.01 |
음식 문화의 수수께끼 (0) | 1996.11.21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신영복 지음, 햇빛출판사 (1) | 1996.10.16 |